제주도 수산업도 코로나19 타격...해녀와 수산물 판매장 큰 피해
상태바
제주도 수산업도 코로나19 타격...해녀와 수산물 판매장 큰 피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부터 1년간 이어지고 있는 코로타19 사태가 제주 해녀와 수산물 판매장에 더 큰 피해를 줬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제주연구원은 현안연구 2020-20호‘코로나19 사태가 제주지역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사태가 제주지역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제주 주요 수산물(갈치, 광어, 소라)의 생산(생산량, 생산금액)·수출(수출량, 수출금액) 통계분석 및 BC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생산 측면에서는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전체 수산물인 경우 생산량, 생산금액(어업인 소득금액)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돼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마을어업(해녀)인 경우에는 소라 생산량과 생산금액 모두 감소해 코로나19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측면에서는 갈치, 광어, 소라 수출량이 감소하면서 코로나19 피해가 발생했고, 수산물과 관련한 3차산업(수산물 판매장, 음식점) 역시 관광객 감소로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수산물 소매업 카드(BC카드 기준) 소비액 추세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유행한 1월 27일부터 카드 이용액이 급감하기 시작해 4월까지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에, 제주형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4월말과 정부형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5월초에 도민을 중심으로 수산물 카드(BC) 소비액이 증가하기 시작해 7월과 8월에는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1월의 수준으로 회복했고, 전년 동기와 대비할 때 더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된다면 관광시장 침체와 이로 인한 수산업 연관 산업 침체의 영향을 다소 받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제주지역 수산물 생산·수출 통계분석, BC카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수산업의 생산적 측면, 소비적 측면, 예방적 측면, 기타적 측면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생산적 측면에서는 자동 양륙시스템 구축, 저온 위생형 위판장 구축, 전자경매 시스템 도입, 수산물 입·출고 시스템 구축, 위판장 캠마켓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이 쉽게 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수산물 온라인 판매 시스템 구축, HMR(가정간편식) 개발 및 소비환경 조성, 가공용 광어 선별을 통한 식품 개발, 소라 내수 소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등 신종 바이러스 발생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새로운 신종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양바이오를 이용한 치료제 연구 및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개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가 다시 재확산 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어업인 경영안정, 수산물 물류, 외국인 선원 수급, 수산물 소비구조 패턴 변화, 다이버 현황 등 간접적으로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까지 다양한 방안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토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현안연구는 제주연구원 좌민석 책임연구원·강영준 책임연구원이 맡았다.<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