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돗물 유충 '깔따구'로 최종 판명...역학조사 돌입
상태바
제주 수돗물 유충 '깔따구'로 최종 판명...역학조사 돌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유전자 분석 결과, "인천 수돗물 유충과 달라"
3종 중 2종 미기록종…"원인 규명‧대책 마련 노력"

강정정수장 계통의 수돗물에서 발견된 유충은 '깔따구류'인 것으로 최종 판명됐다. 유충의 종은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유충과 다른 타마긴털깔따구와 깃깔따구속, 아기깔따구속 유충 등 3종으로 확인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지난 19일 국립생물자원관에 유충의 유전자(DNA) 분석을 요청했으며, 26일 오후 공문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타마긴털깔따구 유충은 잔잔한 물의 시원한 곳 등에 서식하며 봄과 가을에 우화(유충에서 성충으로 진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몸은 전반적으로 검은빛을 띄며, 성충의 몸길이는 수컷 2.53~2.82㎜, 암컷 2.05㎜ 수준이다.

깃깔따구속과 아기따구속 유충은 국내 미기록 종으로 조사됐다.

깃깔따구속 유충은 일반적으로 흐르는 물에서 서식하며, 아기깔다꾸속 유충은 거의 모든 수생환경에서 발견되지만 일부 식물에 굴을 파고 들어가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공언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현미경 사진을 통한 1차 형태 분석에서는 깔다구 유충으로 추정됐으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유충 샘플을 통한 2차 유전자 분석을 추진하게 됐다”며 “유충의 생태적 특징이 확인된 만큼 역학조사반 운영을 통해 원인 규명과 유충 유입 방지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27일부터 수돗물 유출 발생 원인규명 등을 위한 민‧관 합동 역학조사반을 본격 운영한다.

민‧관 합동 역학조사반은 동물학, 생태독성학, 상하수도, 수처리, 곤충학 등을 연구한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역학조사반은 유충의 발생 원인과 서식지, 먹이원 등을 파악해 수돗물 유충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운영 기간은 대책 마련 전까지다.<헤드라인제주>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청정제주 2020-10-27 09:04:33 | 121.***.***.251
이건 단순히 난개발의 대가이고요. 제주를 사랑하지 않는 자들이 망치고 있다는 반증이지요.